맨위로가기

이반 스테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스테판은 불가리아의 미하일 시슈만과 세르비아의 안나 네다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1323년 아버지의 즉위 후 공동 황제가 되었다. 1330년 벨버즈드 전투 패배 이후 어머니와 함께 황위에 올랐으나, 귀족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1331년 쿠데타로 폐위되었다. 이후 남이탈리아로 이동하여 타렌토 공작의 사생아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고, 1373년 나폴리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계 불가리아인 -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는 불가리아의 마지막 차르였으며, 공산 정권 수립 후 망명했다가 귀국하여 총리가 된 인물이다.
  • 세르비아계 불가리아인 - 콘스탄틴 아센 1세
    콘스탄틴 아센 1세는 1257년부터 1277년까지 불가리아 제2제국의 차르로 통치하며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으나, 잦은 전쟁과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혼란 속에 이바일로에게 살해당했다.
  • 시슈만 왕조 - 이반 시슈만
    14세기 후반 불가리아의 차르였던 이반 시슈만은 이반 알렉산드르의 아들로, 왕위 계승 갈등과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선 통치, 그리고 불가리아 문화 부흥에 기여했으나 오스만 제국에 의해 살해당하며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의 영웅으로 재조명되었다.
  • 시슈만 왕조 - 미하일 아센 3세
    미하일 아센 3세는 시쉬만의 아들로 태어나 1323년부터 1330년까지 불가리아 황제를 지냈으며 비잔티움 제국, 세르비아와의 관계 속에서 벨버즈드 전투에서 사망했으나 불가리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했다.
  • 1300년 출생 - 원 명종
    원 명종은 무종 카이산의 아들로, 킵차크 군벌 엘 테무르의 지지를 받아 동생으로부터 제위를 양보받아 원나라의 제9대 황제가 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독살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죽음은 원나라 말기 군벌 정권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천력의 내란'을 야기했다.
  • 1300년 출생 - 쩐 명종
    쩐 명종은 베트남 쩐 왕조의 제5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치수와 토목 공사를 시행하고 참파와 라오스 원정을 지휘했으나, 간신을 중용하여 국정을 혼란케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반 스테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반 스테판
원어 이름Иван Стефан (불가리아어)
칭호차르
통치
통치 시작1330년
통치 종료1331년
이전 통치자미하일 시슈만
다음 통치자이반 알렉산더르
가족
아버지미하일 시슈만
어머니안나 네다
왕가시슈만 가문
왕조제2차 불가리아 제국
출생과 사망
출생일1300년/1301년
사망일1339년 이후, 1357년 이전
사망 장소나폴리, 나폴리 왕국(?)

2. 생애

불가리아의 차르 미하일 시슈만과 세르비아의 공주이자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의 딸인 안나 네다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45] 그의 외할머니는 불가리아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의 딸이었으므로, 이반 스테판은 테르테르 왕가, 아센 왕가, 시슈만 왕가의 혈통을 이었으며 이들 모두 쿠만인 계통이었다. 1323년 아버지 미하일 시슈만이 차르로 즉위하자 이반 스테판은 공동 황제가 되었다.[1][10][11] 그러나 1324년 미하일 시슈만이 안나 네다와 이혼하고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미카일 9세의 딸 테오도라 팔라이올로기나와 재혼하면서, 이반 스테판은 어머니 및 형제들과 함께 수도원에서 추방되었다.[1][10][11]

1330년 7월 28일, 아버지 미하일 시슈만이 벨버즈드 전투에서 세르비아군에게 패배하고 포로로 잡혀 사망하자[46][6][34], 불가리아 귀족들은 세르비아의 왕 스테판 데찬스키에게 평화를 제의했다.[47][7][35] 스테판 데찬스키는 이반 스테판을 불가리아 황제로 세우는 조건으로 평화 제의를 수락했고,[8][36] 이에 따라 이반 스테판은 1330년 8월 또는 9월 수도 터르노보에서 황제로 즉위했다.[1][10][32] 당시 30대 초반이었음에도 어머니 안나 네다와 공동 통치를 했는데,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어머니가 실권을 행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5][1][11][32]

그의 통치는 불안정했다. 숙부 벨라우르를 제외한 대부분의 귀족들은 그를 세르비아의 꼭두각시로 여겨 적대적이었고,[50][16][39][40]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안드로니코스 3세는 불가리아의 약화를 틈타 트라키아 지역을 침공하여 여러 도시를 점령했다.[49][14][15] 이러한 혼란 속에서 1331년 3월, 프로토베스티아리오스 라스킨과 로고테테스 필리프 등 귀족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반 스테판과 안나 네다를 축출하고 로베치의 데스포테스였던 불가리아의 이반 알렉산더를 새로운 차르로 추대했다.[51][17][18][19][41][42]

폐위된 이반 스테판은 가족과 함께 숙부 벨라우르의 영지인 니쉬로 피신했다가[52][20][21][43], 1332년경 두브로브니크로 망명했다.[22][43]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혼재되어 불확실하다. 일부 기록은 그가 남이탈리아로 건너가 결혼하고, 1342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머물렀으며, 1363년 시에나에 투옥되었다가 1373년나폴리 또는 슬로비차에서 사망했다고 전하지만,[53][26][44] 이는 그의 형제들이나 다른 인물의 행적과 혼동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27] 현대 연구에서는 이반 스테판이 1339년 이후, 그리고 늦어도 1357년 이전에 망명지인 두브로브니크에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31]

2. 1. 불가리아 황제 즉위

1330년 7월 28일, 벨버즈드 전투에서 아버지 미하일 시슈만이 세르비아군에게 패배하고 포로 상태에서 사망했다.[46][6] 전투 직후인 8월 2일, 불가리아의 귀족(보야르)들은 세르비아의 왕 스테판 데찬스키에게 평화를 제의했다.[47][7] 스테판 데찬스키는 므라카(Mraka) 지역에서 불가리아 귀족들을 만나, 미하일 시슈만의 장남인 이반 스테판을 불가리아 황제로 즉위시키는 조건으로 평화 제의를 수락했다.[8][36]

이 합의에 따라, 이반 스테판은 어머니 안나 네다와 함께 불가리아의 수도 터르노보로 돌아와 1330년 8월 말 또는 9월에 황제로 즉위했다.[1][10] 이반 스테판은 즉위 당시 이미 30대 초반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 안나 네다와 공동 통치를 했다. 어머니가 국정을 주도한 것으로 보이나, 그 이유는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45][1][11][32] 이반 스테판이 즉위한 후, 미하일 시슈만의 두 번째 부인이었던 테오도라 팔라이올로기나는 수도에서 추방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졌다.[48]

2. 2. 비잔티움 제국의 침공

이반 스테판이 왕위에 오른 후, 그의 아버지 미하일 시슈만의 두 번째 부인이었던 테오도라 팔라이올로기나는 수도 터르노보를 떠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는 자신의 남동생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인 안드로니코스 3세에게로 갔다.[48] 불가리아의 상황 변화와 벨버즈드 전투에서의 패배 소식을 들은 안드로니코스 3세는 회의를 소집하여 세르비아와의 전쟁 계획을 포기하고, 약화된 불가리아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의 누이와 조카들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불가리아 침공을 정당화했다.[12][13]

1330년 여름, 안드로니코스 3세는 마케도니아에서 군대를 준비시킨 후 불가리아령 트라키아를 침공했다. 비잔티움 군대가 진격하자 흑해 연안의 안키알로스(현재 포모리에), 메셈브리아(현재 네세바르)를 비롯하여 아에토스(현재 아이토스), 크테니아(현재 크테니야), 루소카스트로, 디암폴리스(현재 얌볼) 등의 도시들이 별다른 저항 없이 항복했다.[49][14][15]

2. 3. 폐위와 이후의 삶

이반 스테판의 통치 기반은 매우 취약했다. 그의 숙부인 벨라우르 등 소수의 귀족만이 그를 지지했을 뿐, 대다수 귀족들은 그를 세르비아의 스테판 데찬스키가 세운 꼭두각시로 여기며 적대감을 품었다.[50][16][39][40]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영토를 상실하는 등[49]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자, 새 황제에 대한 불만은 결국 1331년 3월 궁정 쿠데타로 이어졌다. 프로토베스티아리오스 라스킨(Raskin)과 로고테테스 필리프(Philip)를 비롯한 귀족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반 스테판과 그의 어머니 안나 네다를 축출했다.[51][17][18][19][41] 로베치의 데스포테스였던 불가리아의 이반 알렉산더가 새로운 차르로 추대되었다.[51][17][42]

폐위된 이반 스테판은 어머니 안나 네다, 그리고 최소 한 명의 형제와 함께 처음에는 숙부 벨라우르의 영지인 니쉬로 피신하여 약 1년 반 동안 머물렀다.[52][20][21][43] 그러나 세르비아에서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이 아버지 데찬스키를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뒤, 새로운 세르비아 군주는 이반 알렉산더르와 동맹을 맺고 그의 여동생 불가리아의 헬레나와 결혼했다. 이반 알렉산더르의 압력으로 스테판 두샨은 이반 스테판과 그의 가족을 추방할 준비를 했고, 결국 이들은 1332년두브로브니크로 망명했다.[22][43] 한편, 그의 다른 형제 시슈만(Shishman)은 1331년 킵차크 칸국(골든 호드)으로 망명하여 지원을 요청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는 134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나타나 불가리아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기도 했으며,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지만 콘스탄티노플의 요셉 2세 대주교의 아버지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3]

두브로브니크로 망명한 이후 이반 스테판의 삶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적다. 후대의 라구산 연대기 작가들(자코모 루카리, 마우로 오르비니, 주니오 레스티 등)은 지역 전승과 다른 인물들(형제 시슈만, 로도비코, 사기꾼 니콜라스 자프(핀)나 등)에 대한 정보를 혼합하여 혼란스럽고 신뢰하기 어려운 기록을 남겼다.[24] 뒤 캉이 일부 오류를 바로잡으려 했으나[25], 이러한 혼란은 후대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데틀레프 슈베니케(Detlev Schwennicke)는 이반 스테판이 남이탈리아로 건너가 타란토의 필리포 1세의 사생아와 결혼했으며(자녀 없음), 1342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와 함께 있었고, 1363년 시에나에서 투옥되었다가 1373년나폴리 또는 슬로비차(Slovița)에서 사망했다고 기술했다.[53][26][44]

그러나 현대 연구에 따르면 슈베니케 등이 기술한 행적 대부분은 이반 스테판 본인이 아닌 다른 인물들의 것으로 보인다.[27] 1340년대 초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었던 불가리아 왕자는 그의 형제 시슈만이었고, 이탈리아에서 활동하다 1363년 시에나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된 인물은 다른 형제 로도비코(Lodovico)였다. 또한 니콜라스 자프(핀)나라는 사기꾼은 1372년 또는 1373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27] 특히 로도비코는 나폴리 문서에서 1339년 이후("불가리아 황제의 아들")와 1357년 이전("불가리아 황제") 사이에 불가리아 왕위 계승자로 언급되는데, 이는 형(아마도 이반 스테판)의 사망 이후 칭호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미 황제였던 이반 스테판과 로도비코를 동일 인물로 볼 수 없게 만든다.[28] 1343년 8월 나폴리의 조안나 1세 여왕이 두브로브니크에 있는 안나 네다와 그녀의 아들들("et filiorum ejus")에게 보낸 서한은 당시 이반 스테판이 아직 살아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29] (다만, 1343년 아라곤의 알폰소 5세 문서에 언급된 크루예의 스테판 왕은 당시 해당 지역을 통치하던 세르비아의 스테판 두샨일 가능성이 높아 이반 스테판과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30])

이러한 정황들을 종합해 볼 때, 이반 스테판은 1339년 또는 1343년 이후, 그리고 그의 동생 로도비코가 왕위 계승자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1357년 이전 사이에 망명지인 두브로브니크에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31]

3. 가족 관계

이반 스테판은 불가리아 차르 미하일 시슈만과 세르비아 공주 안나 네다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다.[45] 어머니 안나 네다는 세르비아의 왕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의 딸이다. 또한 안나 네다의 어머니, 즉 이반 스테판의 외할머니는 불가리아 차르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의 딸이었기 때문에, 이반 스테판은 테르테르 왕가, 아센 왕가, 시슈만 왕가의 혈통을 이었다. 이들 왕가는 모두 쿠만인 계통으로 알려져 있다.

이반 스테판에게는 시슈만을 포함한 여러 형제가 있었으며, 그의 삼촌으로는 비딘의 데스포트였던 벨라우르가 있다.[9] 벨라우르는 이반 스테판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50]

이반 스테판은 훗날 남이탈리아로 건너가 타렌토의 군주 필리프 1세의 사생아 딸과 결혼했으나, 둘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고 전해진다.[53]

참조

[1] 문헌 Andreev, p. 266
[2] 문헌 Ana belonged to the Nemanjić dynasty on her paternal side and to the Árpád dynasty of Hungary on her maternal side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Ivanov, pp. 132-134
[7] 문헌 Burmov, p. 265
[8] 문헌
[9] 문헌
[10] 문헌
[11] 문헌
[12] 문헌 Gregoras, p. 457
[13] 문헌
[14] 문헌 Gregoras, pp. 457-458
[15] 문헌
[16] 문헌 Burmov, p. 270
[17] 문헌 Burmov, p. 272
[18] 문헌
[19] 문헌
[20] 문헌 Gregoras, p. 458-459
[21] 문헌
[22] 문헌
[23] 문헌
[24] 문헌
[25] 문헌 Du Cange
[26] 문헌
[27] 문헌
[28] 문헌
[29] 문헌
[30] 문헌
[31] 문헌
[32] 문헌 Andreev, p. 266
[33] 문헌 Fine
[34] 문헌 Ivanov, pp. 132-134
[35] 문헌 Burmov, p. 265
[36] 서적 ブルガリア 1 ほるぷ出版 1985-08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서적 ブルガリア 1 ほるぷ出版 1985-08
[41] 서적 ブルガリア 1 ほるぷ出版 1985-08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